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4강: 검색 성능 최적화

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4강: 검색 성능 최적화 📈

안녕하세요!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네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소유권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사이트가 구글에 등록되었으니, 서치 콘솔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인 '검색 성능 보고서'를 활용해 사이트의 성과를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검색성능보고서

1. 검색 성능 보고서로 우리 사이트 분석하기

서치 콘솔의 왼쪽 메뉴에서 [실적] > [검색결과]로 이동하면, 내 사이트가 구글 검색에서 어떤 성과를 내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SEO의 방향을 잡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검색결과

주요 지표 이해하기

  • 총 클릭수 (Total Clicks): 사용자가 구글 검색 결과에서 내 사이트를 클릭한 총 횟수입니다.
  • 총 노출수 (Total Impressions): 내 사이트의 페이지가 구글 검색 결과에 표시된 총 횟수입니다.
  • 평균 CTR (Average CTR, 클릭률): 노출수 대비 클릭수의 비율(클릭수 ÷ 노출수 × 100)입니다. CTR이 높을수록 제목과 설명이 사용자의 흥미를 끈다는 의미입니다.
  • 평균 게재순위 (Average Position): 검색 결과에서 내 사이트의 평균 순위입니다. 순위가 낮을수록 더 상위 노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분석의 시작: 쿼리(Query) 분석

  • [쿼리] 탭을 클릭하면 사용자들이 어떤 검색어로 내 사이트에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노출수는 높지만 클릭수가 낮은 키워드'에 주목하세요. 이는 검색 결과에는 잘 노출되지만, 사용자들이 클릭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런 키워드는 제목(Title)과 설명(Description)을 더 매력적으로 수정하여 CTR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클릭수는 높지만 순위는 낮은 키워드'도 중요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흥미를 주는 콘텐츠이므로, 해당 페이지를 더 최적화하여 상위 순위로 끌어올리면 더 많은 트래픽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페이지 경험 지표로 사용자 경험 개선하기

구글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중요한 검색 순위 요소로 고려합니다. 서치 콘솔의 [페이지 경험] 보고서에서는 내 사이트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합니다.

  • 핵심 웹 바이탈(Core Web Vitals): 페이지 로딩 속도, 상호작용 반응성, 레이아웃 안정성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모바일 사용 편의성: 모바일 기기에서 페이지가 얼마나 보기 편하고 사용하기 쉬운지를 평가합니다.

페이지 경험 개선 팁

  • 이미지 최적화: 용량이 큰 이미지는 페이지 로딩 속도를 늦춥니다. 이미지를 압축하거나 최신 이미지 형식(WebP 등)으로 변환하면 좋습니다.
  • LCP(Largest Contentful Paint) 개선: 페이지에서 가장 큰 콘텐츠(이미지, 텍스트 블록 등)가 로딩되는 시간을 단축합니다.
  • 모바일 반응형 디자인: 모바일 기기에서도 콘텐츠가 잘 보이고, 클릭 가능한 요소들이 적절한 크기로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음 강에서는...

오늘은 검색 성능 보고서를 통해 내 사이트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색인 생성(Indexing) 문제 해결: 색인 보고서를 통해 누락된 페이지 찾기]를 주제로, 구글 검색 결과에 내 페이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처음으로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