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3강: 구글 서치 콘솔 시작하기

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3강: 구글 서치 콘솔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세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사이트맵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구글 서치 콘솔을 사용하기 위한 첫걸음, 바로 사이트 등록과 소유권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과정은 내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구글로부터 받아보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 단계입니다.

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3강: 구글 서치 콘솔 시작하기

1.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등록하기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면, 내 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을 볼 수 있습니다.

속성유형선택하기
아주중요:: 속성유형선택하기

① 도메인 속성

  • 설명: DNS(Domain Name System) 기록을 통해 도메인 전체를 등록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http, https, www, non-www모든 하위 도메인과 프로토콜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장점: 가장 포괄적인 방법으로, 웹사이트의 대표 주소가 바뀌어도 별도의 재설정 없이 모든 데이터를 통합해서 볼 수 있습니다.
  • 단점: DNS 설정에 접근해야 하므로, 도메인 관리자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소유권 확인하기

② URL 접두어 속성

  • 설명: 특정 URL 접두어(예: https://www.abc.kr)를 기준으로 등록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HTML 파일 업로드, HTML 태그,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유권 확인이 가능해 비교적 쉽습니다.
  • 단점: 등록한 특정 URL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httpwww가 없는 주소의 데이터는 따로 등록해야 합니다.

초보자라면 URL 접두어 방식으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블로그나 소규모 사이트의 경우, 이 방법만으로도 충분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사이트 소유권 확인 방법

URL 접두어로 등록을 선택했다면, 구글이 "이 사이트가 당신의 소유가 맞나요?"라고 묻는 소유권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url접두어, 소유권확인방법

① HTML 파일 업로드

  1.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인증용 HTML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2. 다운로드한 파일을 내 웹사이트의 최상위 디렉터리(루트 디렉터리)에 업로드합니다.
  3. 업로드 후 서치 콘솔로 돌아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소유권 확인이 완료됩니다.

② HTML 태그

  1.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meta> 태그를 복사합니다.
  2. 복사한 코드를 내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 적용되는 <head> 섹션에 붙여넣습니다.
  3. 웹사이트에 태그를 추가한 후 서치 콘솔로 돌아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소유권 확인이 완료됩니다.


다음 강에서는...

이제 서치 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고 소유권 확인까지 마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서치 콘솔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검색 성능 최적화: 유입 키워드 분석과 페이지 경험 지표 개선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튼 텍스트 버튼 텍스트 버튼 텍스트 처음으로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