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5강: 색인 생성(Indexing) 문제 해결

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5강: 색인 생성(Indexing) 문제 해결 🕵️‍♀️

안녕하세요!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검색 성능 보고서를 통해 유입 키워드와 페이지 경험을 분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구글 검색 결과에 내 페이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 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색인 생성 보고서'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색인생성문제

1. 색인 생성 보고서란 무엇인가요?

색인(Indexing)이란 구글 봇이 내 웹페이지를 방문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구글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이 완료되어야만 내 페이지가 검색 결과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색인] > [페이지] 메뉴로 이동하면, 구글 봇이 내 사이트의 페이지들을 얼마나 잘 색인하고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보고서를 볼 수 있습니다.

보고서의 핵심 지표

  • 색인 생성된 페이지: 구글이 정상적으로 색인을 완료하여 검색 결과에 노출될 수 있는 페이지 수입니다. 이 숫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색인 생성되지 않음: 구글 봇이 페이지를 발견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색인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페이지 수입니다. 이 부분이 색인 문제 해결의 핵심입니다.


2. 색인 생성 문제의 원인 파악 및 해결 🔍

'색인 생성되지 않음' 섹션을 클릭하면 구체적인 문제 원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문제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noindex' 태그에 의해 제외됨: 페이지의 HTML <head><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태그가 있어 검색 제외를 요청한 경우입니다. 의도적으로 제외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태그를 삭제해야 합니다.
  •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robots.txt 파일에 구글 봇의 접근을 차단하는 규칙이 있어 페이지를 크롤링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크롤링을 허용하려면 robots.txt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 '리디렉션 오류' 또는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음(404)': 페이지 주소가 잘못되었거나, 페이지가 삭제되어 구글 봇이 정상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이러한 오류는 내부 링크를 수정하거나, 올바른 페이지로 301 리디렉션을 설정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아닌 페이지: 지난 1강에서 다루었던 중복 콘텐츠 문제입니다. 구글이 여러 페이지 중 하나를 대표 페이지로 선택했기 때문에, 나머지 중복 페이지는 색인에서 제외된 것입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대표 주소 설정을 통해 구글이 올바른 페이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페이지가 누락되었을 때 대처 방법

url검사

'색인 생성되지 않음' 목록에 있지만, 반드시 검색 결과에 노출되어야 할 페이지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조치합니다.

  • URL 검사: 구글 서치 콘솔 상단의 url  검사도구 도구를 사용합니다. 여기에 해당 URL을 입력하면 구글이 페이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어떤 오류가 있는지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 색인 생성 요청: URL 검사 결과에서 오류가 없다면,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눌러 구글 봇에게 해당 페이지를 다시 크롤링하고 색인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페이지의 색인 문제를 해결하고, 내 콘텐츠가 구글 검색 결과에 제대로 노출되도록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마지막 편으로, [수동 작업 및 보안 문제: 사이트 페널티와 보안 경고 대처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튼 텍스트 버튼 텍스트 버튼 텍스트 처음으로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