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2강: 사이트맵(Sitemap) 제대로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웹마스터가 바라본 구글 서치 콘솔 잘 사용하기' 시리즈 두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대표 주소(Canonical URL)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검색엔진 크롤링 효율을 극대화하는 또 다른 핵심 도구, 사이트맵(Sitemap)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사이트맵이란 무엇인가요? 🤷♂️
사이트맵은 말 그대로 '사이트의 지도를 담은 파일'입니다. 웹사이트에 있는 모든 중요한 페이지들의 URL 목록을 XML 형식으로 정리해 둔 파일이죠.
사이트맵은 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 URL: 각 페이지의 주소
- lastmod: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
- changefreq: 콘텐츠가 변경되는 주기
- priority: 페이지의 중요도
사이트맵을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하면, 구글 봇은 이 지도를 참고하여 여러분의 사이트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롭게 만들어진 페이지나, 내부 링크 구조가 복잡한 페이지를 검색엔진이 놓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왜 사이트맵이 중요한가요? 🤔
사이트맵은 검색엔진이 여러분의 웹사이트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빠른 색인 유도: 새 글을 발행했는데 구글 검색에 잘 나타나지 않는 경험을 해보셨나요?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구글 봇이 새로운 페이지를 즉시 인지하여 색인 과정이 훨씬 빨라집니다.
- 누락된 페이지 방지: 사이트맵은 내부 링크로 연결되지 않은 페이지(고아 페이지)도 구글 봇에게 알려줍니다. 복잡한 구조의 사이트일수록 사이트맵은 페이지 누락을 방지하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 사이트 구조 전달: 사이트맵은 단순한 URL 목록을 넘어, 페이지의 업데이트 주기나 중요도 등 SEO에 유용한 힌트를 제공하여 구글 봇이 크롤링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사이트맵은 어떻게 제출하나요? 🛠️
사이트맵을 생성하고 제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이트맵 파일 생성:
- 대부분의 블로그 플랫폼(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등)이나 CMS에서는 사이트맵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도메인명]/sitemap.xml
형태로 생성됩니다. - 만약 자동 생성 기능이 없다면, 사이트맵 생성기를 활용하여 직접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
에 로그인하여 [사이트맵] 메뉴로 이동합니다.구글 서치 콘솔 - '새 사이트맵 추가' 입력란에 생성된 사이트맵 파일의 URL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중요한 팁: 사이트맵을 여러 개 제출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표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맵 하나만 제출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https://www.bloggerguide.kr
이 대표 주소라면, 이 주소의 사이트맵만 제출하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구글 서치 콘솔 시작하기: 사이트 등록과 소유권 확인을 주제로, 서치 콘솔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한 가이드를 이어가겠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