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거, 워드프레스 슬러그(Slug)의 모든 것

블로거, 워드프레스 슬러그(Slug)의 모든 것

블로거, 워드프레스등에서 슬러그(Slug)는 글, 페이지, 카테고리 등의 URL(웹 주소) 마지막 부분을 식별하는 짧은 텍스트입니다. 슬러그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와 사용자 편의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블로거, 워드프레스 슬러그(Slug)의 모든 것

슬러그란 무엇인가요?

슬러그는 URL의 맨 끝에 위치하며, 글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 주소가 https://yourdomain.com이고 슬러그를 my-first-post로 설정하면, 최종 URL은 https://yourdomain.com/my-first-post가 됩니다. 슬러그는 주로 소문자 영문, 숫자, 그리고 하이픈(-)만 사용합니다.

슬러그가 중요한 이유

검색엔진 최적화(SEO): 검색 엔진은 슬러그를 보고 페이지의 콘텐츠를 파악합니다. 키워드가 포함된 슬러그는 검색 엔진 순위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사용자 편의성: 슬러그는 사용자가 URL만 보고도 페이지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의미 있는 슬러그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고유한 식별자: 워드프레스는 슬러그를 고유한 식별자로 사용해 글, 페이지 등을 구분합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슬러그 설정 방법

워드프레스 글 편집기에서 제목을 입력하면, 퍼머링크(Permalink) 설정에 자동으로 슬러그가 생성됩니다. 하지만 한글 제목을 사용하면 종종 문제가 발생합니다.

한글 제목을 입력할 경우: 워드프레스는 한글을 URL에 직접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글을 읽을 수 없는 긴 영문과 숫자 조합(ec9709eab3a4-...)으로 슬러그를 자동 생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슬러그는 SEO나 가독성 면에서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올바른 슬러그 설정 방법:

  1. 글 제목을 입력합니다.
  2. 글 편집기 오른쪽에 있는 '퍼머링크' 또는 '슬러그' 항목을 찾아 클릭합니다.
  3. 자동으로 생성된 슬러그를 삭제하고, 내용을 잘 나타내는 영문 키워드를 입력합니다.
  4. 키워드 사이에는 하이픈(-)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 "워드프레스 슬러그 설정"이라는 제목의 경우, wordpress-slug-settings와 같이 설정)

정리: 슬러그 사용의 핵심

  1. 한글 제목을 사용해도 슬러그는 반드시 영문으로 직접 입력하세요. 자동으로 생성된 긴 영문/숫자 조합은 SEO에 불리합니다.
  2. 슬러그에는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세요. 콘텐츠의 내용을 요약하는 키워드가 포함된 슬러그는 검색 순위 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3. 슬러그는 짧고 명확하게 작성하세요. 너무 길거나 복잡한 슬러그는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렵고, URL 공유 시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4. 슬러그는 글 발행 후에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슬러그를 변경하면 기존 URL이 유효하지 않게 되어 검색 순위 하락이나 트래픽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경이 불가피하다면 반드시 301 리디렉션을 통해 새 URL로 연결해줘야 합니다.

이처럼 슬러그는 워드프레스 블로그 운영에 있어 작지만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올바른 슬러그 설정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슬러그는 워드프레스뿐만 아니라, 블로거, 티스토리나 네이버 

슬러그는 워드프레스뿐만 아니라, 블로거, 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 등 대부분의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와 블로그 플랫폼에서 사용됩니다. 플랫폼마다 설정하는 방식이나 명칭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URL을 구성하는 핵심 식별자라는 개념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퍼머링크(고유 주소) 설정에 따라 슬러그가 결정됩니다. '글 제목'을 기반으로 퍼머링크를 설정하면, 제목이 슬러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워드프레스와 마찬가지로 한글 제목을 사용하면 URL이 깨지거나 SEO에 불리하게 되므로, 직접 영문 슬러그를 설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블로그 운영 시 슬러그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은 검색엔진 최적화(SEO)와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