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애드센스 ads.txt 상태: "해당 사항 없음"이 정상인 이유
티스토리 블로그의 애드센스 사이트 관리 화면에서 ads.txt 상태가 "해당 사항 없음"으로 표시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는 티스토리처럼 자체 도메인(예: xxxx.tistory.com)이 아닌 플랫폼 블로그에서는 사용자가 ads.txt 파일을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구글이 티스토리의 ads.txt를 이미 관리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
티스토리 애드센스 ads.txt 상태 |
각 상태의 의미 비교
상태 | 의미 | 조치 필요 여부 |
---|---|---|
승인됨 | ads.txt 파일에서 게시자 ID를 정상적으로 찾음 | 필요 없음 |
승인되지 않음 | ads.txt 파일에서 게시자 ID를 찾지 못함. 광고 게재 불가 | 2차 도메인일 때 필요 |
해당 사항 없음 | ads.txt 파일에 게시자 ID가 필요하지 않음. (플랫폼에서 자동 관리) | 필요 없음 |
찾을 수 없음 | 사이트에서 ads.txt 파일을 찾지 못함 | 2차 도메인일 때 필요 |
-
"해당 사항 없음"은 티스토리(기본 도메인)에서는 정상 상태입니다.
-
"승인되지 않음" 또는 "찾을 수 없음"은 주로 2차 도메인(예: ganatoday.kr)에서 ads.txt 파일이 누락되었거나 잘못 적용된 경우에 나타납니다.
2차 도메인(예: ganatoday.kr)에서 "승인되지 않음"이 뜨는 이유
-
2차 도메인을 연결한 티스토리 블로그는 ads.txt 파일을 직접 업로드해야 합니다.
-
ads.txt 파일이 누락되었거나, 올바르게 적용되지 않으면 "승인되지 않음"으로 표시됩니다.
-
이 경우, 애드센스에서 제공하는 ads.txt 파일을 직접 생성해 2차 도메인 루트에 업로드해야 정상적으로 "해당 사항 없음" 또는 "승인됨"으로 바뀝니다.
결론 및 해결 방법
-
기본 도메인(예: xxxx.tistory.com) → "해당 사항 없음"이 정상, 별도 조치 필요 없음.
-
2차 도메인(예: ganatoday.kr) → ads.txt 파일을 직접 업로드해야 하며, 누락 시 "승인되지 않음"이 뜹니다. 이 경우 ads.txt 파일을 올바르게 적용하면 "해당 사항 없음" 또는 "승인됨"으로 변경됩니다.
![]() |
ads-txt파일내용 |
정리: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은 "해당 사항 없음"이 정상이며, 2차 도메인은 ads.txt 파일을 직접 업로드해야 합니다. ganatoday.kr처럼 2차 도메인에서 "승인되지 않음"이 뜨면, ads.txt 파일을 올바르게 적용해야 합니다.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는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2차 도메인만 ads.txt 관리가 꼭 필요합니다
처음으로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