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 구글 애널리틱스 시작하기(계정·속성·추적코드)
1. Gmail 계정 준비 및 애널리틱스 계정 개설
- Gmail 계정이 필요합니다. 없다면 먼저 Google에 가입하세요.
- Google 애널리틱스 접속 후 로그인 → 좌측 하단 '관리' 클릭 → '계정 만들기' 선택 후 계정 이름을 입력합니다.
- 데이터 공유 옵션을 체크한 뒤 '다음' 버튼을 클릭하세요.
다음은 ① '계정 생성'하기입니다.
계정 이름을 작성해 주세요. 여러분이 보기 편한 걸로 해두면 좋겠죠? 블로그 이름으로 해보았습니다.
다음으로 ② 계정 데이터 공유를 어디까지 설정할지 선택하면 되는데요. 일단 전부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아래는 4가지 계정 데이터 공유 사항에 대한 설명입니다.
-Google 제품 및 서비스
Google에서 부정클릭과 같은 무효 광고 트래픽을 더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제거해 줍니다. 부정클릭이 많은 경우에는 블로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어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있는 선택지입니다.
-참여 모델링 및 비즈니스 통계
집계된 데이터를 토대로 다른 업계 사이트와 비교되며, 실적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이트 통계치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기술 지원
구글 기술 담당자가 내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계정 전문가
구글 영업 전문가가 내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 속성 이름(예: '내 블로그')을 입력합니다.
- 시간대와 통화를 한국(KST, KRW), 또는 달러등으로 설정해 주세요.
- 비즈니스 정보(업종, 규모, 목표 등)를 입력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 데이터 스트림 만들기: ‘웹’ 선택 → 블로그(사이트) URL 및 스트림 이름 입력 → ‘스트림 만들기’ 클릭.
다음은 ② 속성 만들기입니다. 속성 이름도 마찬가지로 편한 걸로 정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앞에서 설정했던 계정 이름과 같게 작성했어요. 보고 시간대는 대한민국으로 설정 후 통화는 미국 달러로 해주세요. 원화도 있지만 구글 애드센스에는 미국 달러로 표시되고 있어 같게 설정해 주면 편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완료했으면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③ 비즈니스 세부정보는 여러분의 사이트에 해당하는 거에 맞추어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저는 블로그스팟 블로그에 넣어 볼 예정이라 업종 카테고리는 인터넷 및 통신, 비즈니스 규모는 작음 - 직원 1~10명으로 선택하겠습니다.
저는 블로그스팟 블로그에 넣어 볼 예정이라 업종 카테고리는 인터넷 및 통신, 비즈니스 규모는 작음 - 직원 1~10명으로 선택하겠습니다.
데이터 스트림설정, ①~④~의 과정까지 끝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통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연결해야 하는데요. ④~약관동의 과정이 끝낸 후 이고 플랫폼을 웹(PC), 안드로이드앱, iSO앱을 각각 클릭해보면 다른 설정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때 웹이라면 아래처럼 화면이 나타납니다. 데이터 스트림 설정이라는 창이 나타나는데, 이때 URL 입력창에 맞추어 링크(url)를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혹시나 아래 입력창이 보이지 않는다고 당황하지 않아도 됩니다.
3. 측정ID(G-로 시작하는) 복사, 코드 삽입
-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면 ‘측정 ID(G-XXXXXX)’가 생성됩니다.
- 이 측정ID를 복사하세요.
-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예: 블로그스팟, 티스토리, 워드프레스)로 이동:
HTML을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면,
<head>
태그 안에 제공된 추적코드(gtag.js)를 붙여넣으세요.
- 혹은 플러그인 설정에 측정ID(G-XXXXXX)를 입력하는 항목이 있다면 해당 칸에 붙여넣으면 자동 연결됩니다.
구글 태그설정(직접설치)를 테마의 html설정에 grag.js를 복사해서 <head>아래 붙여 넣고 저장을 한 후 설치테스트를 누르면 '확인'상태를 얻을수 있고 확인을 클릭한후 '웹 스트림 세부정보를 얻게 됩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스트림을 추가하거나 다음으로 넘아갈 수 있습니다. 이제 거의 끝났습니다. 스트림추가는 웹은 실시했고, 다음은 앱의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4. 적용 후 데이터 확인
- 사이트에 추적코드를 삽입했다면, Google 애널리틱스 ‘실시간 리포트’에서 데이터 유입 여부를 확인하세요.
- 방문자가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숫자가 올라갑니다.
- 적용 후 1~2분 정도 기다려보고, 데이터가 잡히는지 확인해 주세요.
4-1 블로그스팟으로 이동(접속)
(1) 블로그스팟 관리자 모드
설정 대쉬보드에서 우리는 테마를 선택하고 테마에서 선택을 펼친 후, html편집모드로 들어갑니다.
4-2 티스토리 접속
(1) 티스토리 접속 후 관리자 화면클릭
티스토리에 접속한 후 설정 버튼을 눌러 관리자 화면으로 이동해 주세요.오른쪽 상단에 있는 종 옆에 동그라미 프로필 사진을 클릭하면 바로 아래에 톱니바퀴 아이콘이 관리자 화면에 접속 가능합니다.
(2) 플러그인 - 구글 애널리틱스 선택
앞서 복사한 g-tag, 측정 ID를 입력하기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를 선택합니다.구글 애널리틱스를 누르면 뜨는 팝업 창이 뜹니다. 이때 아래에 있는 측정 ID 또는 추적 ID에 복사해둔 ID를 넣어주면 됩니다. 그리고 적용 버튼을 누르면 설정은 끝이 납니다.
TIP
- 한 번만 설정하면 모든 페이지 데이터가 자동 수집됩니다!
- 티스토리 등 주요 블로그 플랫폼은 플러그인 방식(G 코드 복사–붙여넣기)으로 쉽게 연동됩니다.
- 만약 데이터 수집이 되지 않는다면, 코드 위치(반드시
<head>
안!)와 측정ID 복사를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다음 편에서는 실제 리포트 해석과, 블로그에 꼭 필요한 주요 데이터 보는 법을 안내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