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와 Atom 피드란? 블로그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피드 개념 정리1

📢 RSS와 Atom 피드란? 블로그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피드 개념 정리

블로그를 열심히 운영하고 있는데, 내 글이 검색에 잘 안 뜨거나 누군가가 구독하기 힘들다면?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피드(feed)’ 설정
일 수 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로그 운영자가 꼭 알아야 할 RSS와 Atom 피드의 기초 개념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피드(feed)란 무엇인가요?

‘피드’는 블로그나 뉴스 같은 웹사이트에 새 글이 올라올 때 자동으로 내용을 전달해주는 방식이에요.
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올라오면, 이 피드를 통해 구독자나 검색엔진이 바로 알 수 있게 되죠.

💡 예를 들어, 매일 신문을 읽는 대신 구독 버튼 하나로 최신 뉴스가 자동으로 내 스마트폰에 도착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블로그나 뉴스 기사 페이지에서 쉽게 볼수 있는 아이콘
RSS는 웹사이트에 새로 등록되는 최신 콘텐츠에 대한 요약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포맷을 말합니다.  블로그, 뉴스, 칼럼 등 업데이트가 잦은 콘텐츠들을 사용자가 편하게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규약(protocol)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RSS와 Atom의 차이점은?

항목RSSAtom
정식 명칭Really Simple SyndicationAtom Syndication Format
등장 시기더 오래됨RSS보다 최신
특징간단한 구조, 대부분 사용기술적으로 더 정교함
사용성대부분의 블로그와 리더기에서 지원RSS와 거의 동일하게 사용 가능

✅ 실사용에서는 크게 구분하지 않아도 되며, 둘 다 “피드”라고 부릅니다.  피드!!!


🔁 어떻게 작동하나요?

  1. 블로그에 글을 씀

  2. 피드가 자동으로 새 글을 감지

  3. 요약하자면,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은 "매우 간단한 배급(Very Simple Distribution)"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자주 업데이트되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사용자들이 한곳에서 쉽게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라는 겁니다. 뒤집어 이말을 부른다면, '구독(subscribe)'가 적합할 것 같습니다.

  4. 구독자나 검색봇(RSS 리더, 구글, Feedly 등)이 피드를 통해 새 글을 받아봄: 구독자나 검색봇(RSS 리더, 구글, Feedly 등)이 피드를 통해 새 글을 받아보게 됩니다.즉, RSS가 지원되는 사이트들의 정보, 만약  블로그 스팟:  사이트 피드(설정), 블로그 피드를 허용하면 이사이트들의 정보(RSS feed)를 모아서 RSS를 볼 수 있는 RSS뷰어(Reader)를 통해 한번에 보게 됩니다.

  5. RSS가 이메일 정기 구독 서비스와 다른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조.
  6. 이를 우리는  블로그 콘텐츠가 자동으로 퍼짐이라고 말하고, RSS가 지원되는 사이트들의 정보(RSS feed : 정보를 제공한다)를 널리보내게 됩니다.  
  7. 한마디로, 블로그 콘텐츠가 자동으로 퍼짐!
RSS는 콘텐츠에 대한 배급과 수집을 빠르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일종의 협약, 프로토콜(protocol)의 개념입니다. 이것은 XML 기반으로 제작되며, 배포를 위해 필요한 제목이나 날짜 등의 정보로 구성되게 됩니다. 
rss신청하기 버튼
rss  -> https://www.hankyung.com/feed/economy ( rss 서비스 주소-복사), 여기에 나온 주소들을 복사해서 RSS리더(뷰어)에 등록만 하면 됩니다.


🔍 왜 초보 블로거에게 중요한가요?

  • 내 블로그 글이 검색엔진에 더 빨리 노출

  • 자동 구독자 확보 가능 (피들리, 노션, 이메일 뉴스레터 연동 등)

  •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IFTTT, Zapier 등)과 연계 가능

  • ✅ 블로그 수익화 준비를 위한 기본 세팅

📌 정리하자면, 피드는 블로그 운영의 자동 홍보 시스템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RSS배포는 많이 사라지고있습니다. 구글도 구글 리더를 접었습니다.(2013년도인가?) 이유는 간단합니다. 사용자입장에서는 매력적이나 배포자입장에서는 트래픽,체류시간등에서 몇개지 이슈가 있어조!! 하지만, RSS의 편리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고, 구독하는 콘텐츠가 많은 사용자 입장에서 그것을 한 번에 본다는 것은 여전히 편리합니다.  프로그램 설치 방식이 아닌 웹 기반으로 제작된 RSS리더 사이트는 사용자의 부담 요소도 적다는 겁니다.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크롬 확장프로그램- 링크바로가기!!


📌 다음 글 예고

“블로거(Blogspot)에서 피드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실제 설정 화면과 함께 ‘전부 허용’과 ‘없음’의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 관련 해시태그

#RSS란 #Atom피드 #블로그초보 #블로그피드 #피드설정 #블로그검색노출 #블로그운영팁 #구글블로그 #Blogger #Blogspot


댓글 쓰기

0 댓글